Nothing Is Impossible 초국적 기업과 다국적 기업
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상식|회사정보

초국적 기업과 다국적 기업

메타내셔널 기업 [ Metanational Enterprise ]

국적에 구애받지 않거나 국적과 관계없는 기업. 최근 세계 곳곳에 네트워크를 형성해온 다국적기업과는 조금 다르게 새로운 지구촌 기업 경영을 추구하는 ‘메타내셔널 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메타(meta)란 ‘~을 뛰어넘어’를 뜻하며 메타내셔널 기업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초국적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적기업은 전 세계를 상대로 경영하지만 그 목적은 저렴한 자원 활용과 제품 판매에 국한된다. 따라서 본부, 연구개발(R&D), 핵심 부품 생산 기능은 국적지에 남겨 둔다.

그러나 메타내셔널 기업은 생산과 R&D 등 핵심 사업뿐만 아니라 본사 핵심 기능까지 해외 지사 등에서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메타내셔널 기업이 확산되는 이유는 지구촌 차원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용어사전)


 


초국적 기업이라는 용어는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저서 <제3의 물결>에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토플러는 초극적 기업들이 해외시장을 자기 집 안마당처럼 종횡무진 누비면서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초국적 기업은 일반적으로 해외진출한 국가의 기업에 비해 자금력이나 기술적 측면이 뛰어난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메타내셔널은 자금과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임금 절감과 시장 확대 등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초국적 기업의 비중은 농산품이 80% 이상, 상품과 서비스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500대 초국적 기업이 전 세계 무역의 70%, 해외 투자의 70%, 세계 국내총생산의 30% 이상을 쥐락펴락하고 있다는 분석까지 내놓고 있습니다.


초국적 기업의 대표적 예로는 돌체구스토 커피머신과 도어투도어(Door To Door)서비스를 제공하고 네스퀵을 비롯해 각종 인스턴스 차와 음료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네슬레가 있습니다. 네슬레는 회사 주요 임원을 전 세계에서 채용하고 있으며 경영 전략을 본사인 스위스에서 결정하지 않고 진출한 해외 각국에서 내리는 등 글로벌 경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글로벌 석유업체 '로열더치셸', '나이키', '버거킹', '코카콜라' 등이 있습니다.

스포츠용품 전문업체인 나이키는 튼튼한 브랜드파워와 글로벌 유통망, 뛰어난 제품 디자인과 기획광고로 매출과 영향력에서 세계적 업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나이키는 전 세계에서 판매하는 자사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 패스트푸드 버거킹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미국 수요에만 국한하지 않고 전 세계 수요까지 수용하는 글로벌 전략을 구사합니다. 한 예로 인도 시장에 선보인 양고기버거는 쇠고기를 먹지 않는 인도인 다수의 종교적 특성을 고려한 제품입니다. 인구 11억의 인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소고기 대신 양고기와 닭고기로 패티를 만들어 판매합니다.


한국에서 활약하는 초국적기업 중에 '볼보건설기계코리아'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굴착기 무터그레이터 등 건설 중장비를 생산하는 볼보건설기계의 창원공장은 제품 생산은 물론 기술개발까지 담당하는 등 볼보그룹 굴삭기 사업의 글로벌 생산 저검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즉, 한국 굴삭기=글로벌 스탠더드'로 자리잡은 셈입니다. 연간 건설중장비를 15,000대 이상 생산하는 창원공장은 총 생산략의 80% 이상을 수출해 지난 2012년 20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면서 무역상(수출탑)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국내 기업 중 초국적 기업(metanational Ent.)으로서 성공 사례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엔젤레스에 디자인 센터를 설립해 산타페라는 히트 상품을 만들어 낸 현대자동차가 있으며 최근 반도체 수요 증가과 가격 상승으로 시장이 급부상하여 생산 시설을 동남 아시아로 확장한 삼성전자 등을 들 수 있습니다.